올해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월 최대 250만원으로 확대됩니다.
그래서 육아휴직을 12개월 사용하면 기존 1800만원에서 2310만원까지 늘어나게 된 셈인데요.
- 육아휴직 정착을 위한 소득 지원 강화
또한 부모가 함께 생후 18개월 이내 사용할 수 있는 육아휴직제를 활용하는 경우 부부가
1년간 육아휴직 시 각각 2960만원씩 총 5920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출산 후 육아휴직 시 가장 우려되는 것이 경제적인 문제인데요.
지원금이 늘어난 만큼 육아에 집중할 수 있는 좋은 정책인 것 같습니다.
또 엄마와 아빠가 함께 육아 휴직을 사용하게 될 경우
받게 되는 월 급여도 첫 1개월 최대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늘어났습니다.
무엇보다 기존에는 급여의 25%는 복직 후 6개월 뒤 지급하던 것을
올해 2025년 부터는 육아휴직 기간 내 지급을 받을 수 있게 된 것도
기존의 육아휴직 제도의 아쉬웠던 점이 많이 보완이 된 정책이라 정착 후
출산과 육아를 시작한 부모님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
- 육아휴직 사용 편의성 제고를 위한 장치 도입
저는 기존 육아휴직 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(?)이 쓰고 싶지만 쓸 수 없다는 점이라고 보는데요.
앞으로는 이런 신청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배우자 포함 출산휴가 신청 시 육아휴직도
같이 신청할 수 있도록 제도가 많이 개선되었습니다.
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사업주는 14일 이내에 서면으로 허용 의사표시를 해야하고
사업주의 의사표시가 없으면 근로자가 신청한 대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도록 개선해
실질적인 장벽을 낮아지지 않을까 기대가 됩니다!

- 중소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 지원도 확대!
사실 이런 복지정책이 제정/개정되면 대기업만 대상 아니야? 하고 반문하는 분도 계실 텐데요 ,
이번 시행령에서는 중소기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 지원도 확대되기 때문에
이런 걱정을 하실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.
출산휴가,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뿐만 아니라 육아휴직으로 자르릴 비운 경우에도
대체인력 지원금을 지원하고, 육아휴직에 대한 업무분담 지원급도 신설이 됩니다.

특히 중소기업 사업주가 근로자를 1년 동안 육아휴직을 보내고 대체인력을 채용하면
정부는 우러 120만원 씩 1년 동안 최대 144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.
여기에 일부 지자체는 대체인력으로 채용된 근로자에 대해서
연간 최대 2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고 하니 중소기업 재직하는 분들도 육아휴직 사용에
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.